2021. 3. 23. 23:46ㆍ오늘의 정리
1. chmod 권한을 주는 명령어이다. (r: read, w: write, x: execute)
자세한 내용은 > 출처 : withcoding.com/103
리눅스 권한 관리 명령어 사용법 정리 (chmod, chown, chgrp 명령어)
리눅스(Linux)는 하나의 컴퓨터를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멀티유저 운영체제(OS)이기 때문에 권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.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고 소유권을 변경하는 방법을
withcoding.com
2. 개별적으로 파일권한 변경하기
chmod g+w test.c -> 그룹에 쓰기 권한을 준다.
chmod o-r test.c -> 다른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을 빼앗는다.
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, 그룹,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여 권한을 지정한다.
u 사용자, g그룹, o 다른 사용자, a 전부 에게 권한을 지정할 수 있고, 더하기(+)를 사용하여 권한을 추가 하고, 빼기(-)를 사용하여 권한을 제거 할 수 있다.
예:
chmod u+x file.txt -> 소유자에게 실행권한을 부여한다.
chmod g+rwx file.txt -> 그룹에게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.
chmod go+r file.txt ->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을 준다.
2. 기존 인스턴스의 EIP를 해제하고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기존 인스턴스의 EIP에 연결을 할 시, IP충돌이 날 수 있으니, EIP를 새로 만들어서 연결해 준다.
'오늘의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1.04.08] aws cli (0) | 2021.04.08 |
---|---|
[21.04.01] node 크롤링 (0) | 2021.04.01 |
[21.03.25] code-server 설정/ vi 에디터 문자열 치환 (0) | 2021.03.25 |
[21.03.24] 포트 (0) | 2021.03.24 |
[21.03.22] ec2 인스턴스 설정 (0) | 2021.03.22 |